티스토리 뷰
사적연금 건강보험료 소득산정 기준과 함께 알아보기
@시간@ 2024. 1. 3. 21:18
사적연금 건강보험료 는 개인이 가입한 사적연금 과 관련된 건강보험료 를 의미합니다. 이에 대한 소득산정에는 몇 가지 주요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소득산정기준
건강보험료 를 산정할 때 소득 기준은 건강보험법 시행령 41조에 정해져 있습니다. 이 소득 항목에는 이자, 배당, 사업 수익, 근로 소득, 연금 소득, 기타 소득이 포함됩니다.
연금소득과 건강보험료
연금 소득은 공적 연금과 연금 계좌 (연금저축계좌, 퇴직연금계좌, IRP)로 구분됩니다. 추가 납입금액 중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부분은 건보료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퇴직금과 퇴직연금
퇴직연금은 퇴직소득세에 영향을 미치며, 연금 수령 시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반면에 일시 퇴직금은 세액공제를 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퇴직연금과 건강보험료
퇴직연금은 연금 소득에 포함되어 건강보험료 소득산정에 반영됩니다. 이로 인해 세금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건강보험료 소득산정에 사적연금 이 반영되지 않고 있으나, 소득세법에서는 반영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중부과 문제와 세법 개정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올바른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구분 |
납부세액 |
퇴직일시금 |
퇴직소득세 100% |
퇴직연금 |
연금수령시 10차 년도까지 이연퇴직소득세 70% |
11차년도부터 |
이연퇴직소득세 60% |
연금외수령시, 부분인출시, 계좌해지시, 연금수령한도초과인출시 |
이연퇴직소득세 100% |
사적연금 건강보험료의 미래
현재 사적연금 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가 검토 중입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부과 대상으로 검토 중이며, 이에 대한 소득산정은 원금을 제외한 수익(운용 수익 및 세액공제를 포함)으로 이루어집니다.
부과 이유
사적연금 규모의 증가로 관리 필요성과 공적 연금 대상에 부과되는 건보료와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금저축펀드와 IRP가 현재 개인연금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부과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전망
현재까지는 개인연금의 수익률이 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적이며, 현금 흐름을 해지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30 세대들이 다른 투자 방법을 선호하면서 개인연금 시장이 축소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사적연금 건강보험료 의 부과에 대한 논의와 개인연금의 미래 전망이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