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말 정산 시 의료비 공제는 중요한 세액공제 항목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말 정산 의료비 공제의 계산법과 요건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말 정산 의료비 공제를 통해 세액을 최소화하고 미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의료비 공제 대상/요건

 

의료비 공제 대상과 계산 방법

연말 정산 의료비 공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 의료비 총액 중 총 급여액의 3%를 초과한 부분부터 세액공제 대상이 됩니다.
  2. 초과한 부분에 대해 15%의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봉 5,000만 원인 경우 총 급여액의 3%인 150만 원 이상의 의료비를 지출했다면 150만 원 초과 지출한 의료비부터가 의료비 공제 대상이며, 최종적으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5%로 계산됩니다. 즉, 225,000원이 세액공제로 환급됩니다.

 

의료비 공제 대상

의료비 공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본인 및 연말정산 인적공제 기본 공제 대상자 (배우자, 자녀, 부모님, 형제자매 등 부양가족)
  2. 기본 공제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가족관계와 생계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인 및 가족의 의료비를 세액공제할 수 있습니다.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경 및 렌즈 비용: 시력 교정용으로 구입한 안경과 렌즈는 최대 5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 산후조리원 비용: 산후조리원 비용은 1인당 2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 가능하며, 연봉 7천만 원 이하의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 난임 시술비: 난임 시술비는 최근 개정으로 30%의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 기타 의료비: 진찰, 진료, 질병 관련 의료기관 지출액, 보청기 비용, 노인 장기요양 보험법에 따른 장기요양 급여 비용 중 본인 부담분 등이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의료비 공제 계산방법

의료비 공제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의 한도는 700만 원입니다. 700만 원을 초과한 경우에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본인, 65세 이상 부양가족, 장애인 부양가족, 건강보험 산정 특례자에게 지출한 의료비 및 난임 시술비는 700만 원 한도를 적용받지 않으므로 초과 금액도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결론

연말 정산 시 의료비 공제는 중요한 세액공제 항목 중 하나로, 세액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본인 및 가족의 의료비를 세액공제로 활용하여 더 많은 환급을 받아보세요. 연말 정산 의료비 공제는 세무 상담사와 상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비 공제 대상/요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