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근로장려금 기한후 신청, 근로장려금 소득조건과 재산조건 확인하기
@시간@ 2023. 11. 5. 14:03
근로장려금 기한 내 놓친 경우, 기한 후 신청 및 지급일 확인에 대한 정보입니다.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기간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기간은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입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액 (현행 vs. 개정안)
아래는 근로장려금 지급액의 현행과 개정안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구분 |
현행 |
개정안 |
단독 |
150만원 |
165만원 |
홑벌이 |
260만원 |
285만원 |
맞벌이 |
300만원 |
330만원 |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은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조건
근로장려금을 받기 위한 지급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조건
- 단독가구: 총 소득 2,200만원 미만
- 홑벌이가구: 총 소득 3,200만원 미만
- 맞벌이가구: 총 소득 3,800만원 미만
재산조건
- 보유한 재산이 2,4억원 미만
- 부채는 차감하지 않음
- 재산가액이 1억7천만원을 넘어가면 지급금액이 50%만 지급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계산은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신청은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가능합니다.
2023년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신청 정보 요약
2023년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신청 정보를 아래에서 요약하겠습니다.
정기신청 기간
-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가능 기간
- 2023년 6월 1일부터 2023년 11월 30일까지
지급일
- 최초 신청 완료 날짜로부터 약 3~4개월 후
지급액
- 단독 가구: 최대 165만원
- 외벌이 가구: 최대 285만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5만원
- 기한 후 신청 시 10% 차감
신청방법
-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신청
자격조건
소득조건
- 단독가구: 4~2200만원
- 외벌이가구: 4~3200만원
- 맞벌이가구: 4~3800만원
재산조건
- 가구원 모두가 소유한 재산합계액 2억 4천만 원 미만
- 부채는 재산가액에서 제외
주택은 간주전세금 또는 실제 전세금 중 적은 금액으로 평가됩니다.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계산은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가구원별 지급액
아래는 가구원별 지급액을 나타낸 표입니다.
가구원 |
지급액 |
단독 가구 |
최대 165만원 |
외벌이 가구 |
최대 285만원 |
맞벌이 가구 |
최대 335만원 |
가구원별 소득 기준
가구원별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
(연간) 총급여액 등 |
단독가구 |
4~2200만원 |
외벌이가구 |
4~3200만원 |
맞벌이가구 |
4~3800만원 |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을 놓친 분들을 위한 정보
근로장려금 정기신고 기간은 5월 31일까지 였으나,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한 후 신청 기간
- 2023년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급일
- 최초 신청 완료 날짜로부터 약 3~4개월 후
지급액
-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원
- 기한 후 신청 시 10% 감액
신청 방법
- 온라인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 전화 상담, 방문 신청 중 선택 가능
대상 기준
- 소득 요건: 소득 미만 조건에 따라 가구원별로 다름
- 재산 요건: 가구원 모두가 소유한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
신청 제외 사항 포함
지급액은 가구원의 소득 및 재산 요건에 따라 다르며, 10%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가구원별 소득 기준
아래는 가구원별 소득 기준을 나타낸 표입니다.
가구원 |
총 소득 기준 |
지급액 |
단독 가구 |
총 소득 2,200만 원 미만 |
최대 165만원 |
홑벌이 가구 |
총 소득 3,200만 원 미만 |
최대 285만원 |
맞벌이 가구 |
총 소득 3,800만 원 미만 |
최대 330만원 |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을 놓친 경우, 기한 후 신청을 위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결론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소득과 재산 요건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며, 기한 내 놓치더라도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급액을 확인하고 신청하기 위해 홈택스 홈페이지를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