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구시는 다자녀가구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바로 "대구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인데요, 이 정책은 다자녀 부모들의 고용 확대와 고령층 근로자의 재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내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구시는 이 정책을 통해 다자녀 부모들에게 우대 혜택을 주고 고령층 근로자들의 소득을 보장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출산지원/다자녀지원 | 대구광역시 분야별 여성&가족&교육

 

정책 개요

대구시는 2025년 7월부터 시행될 "대구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대구시 본청과 산하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에서 일하는 다자녀 부모인 공무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며, 정년 퇴직 후 일정 기간 재고용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자녀 가구에 우대 혜택을 제공하는 이번 정책은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무기계약직과 기간제 노동자(공무직)를 포함하며, 정년 퇴직 후 2자녀 가구는 1년, 3자녀 이상 가구는 2년간 재고용될 수 있습니다.

 

 

이 재고용은 동일 부서와 동일 업무로 우선 배치되며, 급여는 호봉 인정 없이 기간제 급여가 적용됩니다. 또한, 대구시 산하 4개 공사·공단과 3개 출자·출연기관에서 이 정책이 적용됩니다. 현재 공무직 노동자는 약 1,547명이 있으며, 올해 하반기 퇴직 예상 인원 중 23명이 다자녀 부모 대상입니다. 향후 7년간 약 340명이 정년퇴직할 예정인데, 그중 205명이 다자녀 부모에 해당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책의 배경과 의의

이번 대구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은 고령층 근로자들에게 소득 보장을 제공하고, 결혼 적령기 상승으로 자녀 교육을 마치지 못한 고령층 근로자들의 고용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대구시는 이 정책을 통해 다자녀 가구에 대한 우대를 실현하고, 고령층 근로자에게 일정 기간 소득 보장 기회를 제공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이번 정책을 통해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고령층 근로자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려고 합니다. 이 정책은 대구시 최초로 시행되는 만큼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계획과 평가

대구시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다자녀 부모의 재고용 기회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민주노총은 정책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장기 근무한 직원들의 경험과 숙련도를 인정하는 호봉 승급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향후 이 정책이 어떻게 평가되고 발전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 사례

대구의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에 앞서, 대전 서구는 2025년 2월 27일부터 전국 최초로 다자녀 가정 공무직 정년 후 재고용 정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대구시의 정책은 이러한 다른 지역 사례와 함께 다자녀가구 지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구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은 고령층의 고용 확대와 다자녀 가구에 대한 우대를 동시에 실현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대구시가 이 정책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면,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정책을 고려하게 될 가능성이 커질 것입니다. 이번 정책이 다자녀 가구와 고령층 근로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출산지원/다자녀지원 | 대구광역시 분야별 여성&가족&교육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