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인노무사 자격증, 시험 과목과 합격 기준 자세히 알아보세요
@시간@ 2024. 8. 8. 10:44
공인노무사 자격증 은 기업과 개인의 노동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노동법과 노무 관리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추고, 실무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이 자격증은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공인노무사 자격증 의 시험 정보, 합격 기준, 그리고 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인노무사란?
공인노무사 는 노동법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노무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들은 임금 계산, 근로계약 작성, 근로조건 조정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근로자 대표와의 교섭, 노동 조사 대리, 노동 상담 등의 역할도 맡게 됩니다. 공인노무사 는 노동법에 대한 깊은 이해와 뛰어난 상담 능력을 바탕으로 기업이나 개인의 노동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공인노무사 시험 정보
응시 자격
공인노무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공인노무사 법 제4조 각 호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아야 하며, 제1차 시험은 필기 시험, 제2차 시험은 논문형 필기 시험, 제3차 시험은 면접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험 과목
제1차 시험
- 과목 : 노동법(1), 노동법(2), 민법, 사회보험법, 영어(공인 어학성적으로 대체 가능)
- 시험 방법 : 객관식, 각 과목당 25문항, 총 125문항
- 영어능력검정시험 대체 기준 : TOEFL, TOEIC, TEPS 등
제2차 시험
- 시험 방법 : 논문형
- 과목 :
- 노동법: 4문항
- 인사노무관리론: 3문항
- 행정쟁송법: 3문항
- 경영조직론, 노동경제학, 민사소송법 중 1과목: 3문항
제3차 시험 (면접)
- 시험 과목 : 국가관, 사명감 등 정신자세,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예의, 품행 및 성실성,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 시험 방법 : 면접
- 평정 요소 : 총 12점 만점, 평균 8점 이상 득점
시험 면제
경력이 있거나 특정 자격을 보유한 경우, 시험 과목 면제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고용노동부 및 소속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이나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의 사업장에서 노무 관리 업무를 전담한 경력이 있을 경우 1차 시험 일부 과목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
합격 기준 및 합격률
1차 시험
- 합격 기준 : 영어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에서 각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합격률 : 평균 약 50%
2차 시험
- 합격 기준 : 각 과목 만점의 40%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
- 합격률 : 약 9%
3차 시험
- 평가 기준 : 면접에서 큰 실수를 하지 않으면 100% 합격 가능
공인노무사 자격증의 장점과 전망
공인노무사 자격증 을 보유하면 노동법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게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노무법인, 기업체의 인사 관련 부서, 공공기관 등에서 취업 기회가 있으며, 창업을 통해 개인사무소를 개업하거나 노무법인을 설립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노동법 개정 및 노동환경 변화에 따라 공인노무사 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공인노무사 자격증 은 높은 난이도와 전문성을 요구하는 자격증입니다. 특히 2차 시험의 난이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 시험에 중점을 두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분한 준비와 전략적인 학습을 통해 공인노무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해보세요.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나 원서 접수는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